Programming/SW Expert Academy
20210116 // 삼성 SW Expert 아카데미 // 6692
껨코
2021. 1. 16. 17:58
삼성 SW Expert 아카데미 6692번 "다솔이의 월급 상자" 문제입니다.
TC = int(input())
for tc in range(1, TC+1):
N = int(input())
avg = 0
for i in range(N):
p, x = map(float, input().split())
avg += p * x
print("#%s"%tc, avg)
확률에서의 기댓값 문제가 출제되었다.
기댓값이란 무엇인가?
ko.wikipedia.org/wiki/%EA%B8%B0%EB%8C%93%EA%B0%92
기댓값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 확률론에서, 확률 변수의 기댓값(期待값, 영어: expected value, E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E} } )은 각 사건이 벌어졌을 때의 이득과 그 사건이 벌어질 확률을 곱한 것
ko.wikipedia.org
예를 들어 주사위 한 개를 던졌을 때 주사위 눈의 기댓값을 구하라고 하면
주사위 각 눈이 나올 확률은 1/6 이고 각 눈의 값을 1,2,3,4,5,6 이므로
1*1/6 + 2*1/6 + 3*1/6 + 4*1/6 + 5*1/6 + 6*1/6 = 3.5 의 기댓값을 가진다.
테스트 케이스 예시처럼 0.3 확률로 100, 0.7 확률로 1을 획득한다고 하면 기댓값은 0.3*100 + 0.7*1 = 30.7 인 것이다.